구분 | 사업 세부 내용 |
---|---|
컨설팅 |
- 기업의 에너지경영 현황 진단, 에너지경영 전략 수립, 에너지 절감목표 및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컨설팅 - 에너지경영시스템 절차서 작성 (ISO 50001 표준 참조) * PDCA 사이클에 따라 전사적·지속적 에너지성과개선을 위한 경영체계 구축 - 에너지성과관리 효율화·최적화 방안 및 계측 포인트 선정 컨설팅 - 참여기업별 에너지 경영시스템 도입을 위한 계측 및 제어 인프라,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방안, 데이터 연계 방안 수립 - 지원·구축된 계측 및 제어 인프라와 에너지관리시스템에 대한 정상 운전 확인*, 계측 데이터 관리·활용 방안, 최적 운영방안 교육·지도 * 시스템 구축 후 최소 1개월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절감 성과 또는 절감 잠재량을 파악하여 구체적 에너지 절감 활동을 통한 실질적인 성과 도출 - 참여기업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보고서 작성 지원(필요시) * 보고서는 한국에너지공단『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확인업무 운영규정(2016.11.11』의 양식에 따름 |
계측 인프라 |
- 에너지사용량 측정을 위한 계측기(전력량계, 유량계 등) (필수사항) - 에너지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내·외부 영향인자(제품, 기후 등) 측정을 위한 계측기 (선택사항) - 계측값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 설치비용 지원 및 계측 데이터 정합성 검토 등 |
제어 인프라 |
- 에너지사용량 측정을 위한 계측기(전력량계, 유량계 등) (필수사항) - 에너지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내·외부 영향인자(제품, 기후 등) 측정을 위한 계측기 (선택사항) - 계측값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 설치비용 지원 및 계측 데이터 정합성 검토 등 |
에너지관리 시스템 |
- 에너지사용 현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실시간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 - 에너지성과지표의 실시간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(원단위, 효율 등) * 영향인자 계측기 설치시 반드시 기능이 포함되어야 함. - 제어 대상설비의 최적값 입력 및 감시·관리 기능 구축 - 시스템 분석·설계, 구축, 기능 및 데이터 연동 테스트 비용지원, 교육 및 유지보수 방안 수립 |
계측, 제어 및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성요소
구분 | 주요 내용 |
---|---|
계측 인프라 |
(계측기) 전력, 스팀, LNG, 온도, 압력 등 에너지사용량 계산 및 제품, 기후 등 에너지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 데이터를 계산하는 전자적 방식 장비 (통신) 계측 데이터 송수신, 저장장치, 네트워크 등 IT 인프라 장비 |
제어 인프라 |
(설계) 대상설비에 적합한 에너지절감 제어 알고리즘 설계 (계측기) 원격·자동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파라미터 획득을 위한 신규 계측설비 설치 및 연계 (제어장비) 필드제어장비(엑츄에이터 등) 및 PLC·HMI·DCS 등 관련 제어장비 설치 |
제어 인프라 |
- 에너지사용량 측정을 위한 계측기(전력량계, 유량계 등) (필수사항) - 에너지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내·외부 영향인자(제품, 기후 등) 측정을 위한 계측기 (선택사항) - 계측값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 설치비용 지원 및 계측 데이터 정합성 검토 등 |
에너지관리 시스템 | (모니터링) 데이터 조회, 예측, 모니터링/보고, 감시, 실시간 에너지성과지표 관리·분석 등의 기능 구현(자동/원격제어) 제어장비가 설치된 대상설비의 최적값 입력(Input·Output, 상한·하한 등) 및 원격(On·Off) 또는 자동제어 현황 감시·관리 |